심리학 3

외로운 사람에게 쉽게 마음을 주면 안되는 이유

외로운 사람은 쉽게 마음을 연다. 주변에 친구가 없거나 갑작스럽게 힘든 일을 당했다거나 이별을 했다거나 여러 이유들로 외롭게 된 사람이 갑작스럽게 당신에게 다가올 때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 사람이 인격적으로 괜찮은 사람이라면 마음을 주어도 괜찮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이라면 + 주변에 사람이 없는 경우라면(그 사람의 상황적 특성이 아닌 성격적 특성으로 인해), 마음을 주지 않는 편이 현명하다. 왜냐면 그 사람은 자신의 문제가 해결되거나 누군가 자신에게 다가오는 새로운 사람이 생길 때 쉽게 당신을 떠날 것이기 때문이다. 그 때 당신은 아주 허탈해질 것이다. 주변에 사람이 많고, 삶이 괜찮음에도 당신의 가치를 알아보고 당신에게 다가오는 사람을 만나는 편이 좋다. 그 사람이 진정으로 당신을 아는 사람일 가능성이..

심리학 2022.12.04

죄책감을 덜어낼 방법, 자기처벌

자기처벌은 규칙위반과 그에 따른 사회적 반향에 대한 고통을 종식시키며 타인의 승인을 회복시키는 성격을 지닌다. 실제적 처벌 그 자체보다 더 고통스럽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사고'에 의해 생긴 고통과 두려움을 감소시킨다. "자기처벌적 반응은 사고에 의해서 생겨난 고통을 경감시키고 외부적 처벌을 완화시켜주기 때문에 지속된다. 비난받을 만한 도의적인 행위에 대해 자신을 비판하고 경시함으로써 사람들은 과거의 행동에 대해 더 이상 고통을 주지 않는다" 도덕적 인간은 자기 규제 메커니즘을 갖추고, 그것에 따라 자신의 행위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이다. 자기존중감 때문에 도덕적 행위를 하며, 자기 비판적 감정을 유발할 것이기 때문에 비도덕적 행위를 삼간다. (반두라, 자기처벌)

심리학 2022.09.20

행동주의 기법으로 남자친구를 조련할 방법(스키너, 강화, 처벌)

사람의 행동을 바꾸는 데는 행동주의가 은근 잘 먹힌다. 스스로의 행동도 행동주의 기법으로 어느정도 바꿀 수가 있다. (사실상 어느정도가 아니라 아예 싹 바꿀 수도 있다.) 요약해보면, 잘한 행동에 상, 못한 행동에 벌. 그걸 좀 더 구체화 해본 원리를 살펴보자. 교육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지만, 남자친구에게도 써먹을 수가 있다. 미래의 남자친구는 이렇게 조련해야지 - 칭찬- 무시 접근 : 규칙을 어기는 경우엔 무시, 잘 지키면 칭찬 *칭찬의 효과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 1) 강화하게 될 행동과 직접적 연결 2)강화할 행동 명백히 하기 3) 뚜렷한 행동에 대한 진실한 표현 - 프리맥 원리 : 행동빈도가 높은 행동(더 선호하는 활동)을 이용해 행동 빈도가 낮은 행동(덜 선호하는 행동) 강화 - 조형(연..

심리학 2022.09.19